언유상씨의 건전한 취미생활

바이플러그로 어플만들어보기 본문

건전한 학습생활 - 이것저것

바이플러그로 어플만들어보기

언유상 2019. 11. 20. 12:51

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전에 고려할 점.

 

카테고리 별 실행 횟수와 사용 시간의 차이가 큰 만큼 모바일 앱의 목적을 명확하게 하라.

 

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모바일 앱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는 것이 모바일 앱 생존 전략의 키 포인트

 

앱의 종류

 

네이티브 앱

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는 것

스마트폰에 최적화

개발 비용 시간 많이 듦

최상의 사용자 환경

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기능 활용 가능 (GPS, 카메라 등)

실행속도 빠르고 안정적

 

웹 앱

 

하이브리드 앱

 

금, 구리, 도금된 구리의 느낌으로 이해하면 된다.

 

information architecture 제작을 하고 만들면 된다. (일종의 flow chart)

 

데이터 블록 - 데이터들의 집합체

예) 카톡 친구창

데이터 블록 이름 : 친구 리스트

구성 요소 : 사진, 이름, 상태메시지

 

호텔 검색 앱

데이터 블록 이름 : 호텔 정보

구성 요소 : 사진, 이름, 위치, 호텔 등급, 가격 등

 

바이플러그 접속 > 우측 상단 ‘사용법’ or 로그인 후 ‘도움말’ - ‘바이플러그 시작하기’ > 바이플러그 블로그 접속 > 

 

새 프로젝트를 만들 때

호스팅 서버는 건드릴 필요 없음.

 

자동 저장을 해서 서버에 계속 올려주도록 하자

 

빨간 B 딱지가 붙어있는 것 - Beta



공공데이터의 특성 및 제공 유형

open api - 링크 같은 것으로 간단하게 할

SOAP (기계 친화적)

REST (인간 친화적)

LINK

 

공공데이터 활용 사례

goodoc 

피스칼노트

k.weather

카카오버스 (서울버스)

직방

와그, 여행노트 (여행정보) - 동일한 데이터를 가져와도 개발자의 생각에 따라 다른 어플에 이용할 수 있음.

 

일반 인증키를 복사하고, 참고 문서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, 가져온 데이터를 활용하는 법을 알 수 있음.

 

들어가서 하라는대로 하면 됨.

아이콘 해상도 512 384 정도로 해라 (깨질 수도 있음)

 

화면 우측의 도구 바

화면 이름 : 개발자가 헷갈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

제목 : 화면 상단바에 제목이 들어간다.
제목 색상과 제목 배경 색상으로 색상 조절

 

상단바는 없애지 못한다. = 유료기능, 그냥 할 때는 (0,56) 부터 이미지를 넣을 수 있음.

 

이미지 클릭 > 액션을 통해 화면 전환 및 화면 닫기를 할 수 있다.

 

데이터블록 > 공공데이터 api 불러오기 > url 복사 (가져오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음.) >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가져오면 된다.

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.

제목과 타입을 바꿀 수 있다.

타입을 맞춰주지 않으면 데이터가 열리지 않을 수도 있다.

왼쪽 설정창을 이용해 데이터 블록을 관리할 수 있다.

데이터 블록

데이터 블록 설정에서 이름을 변경하거나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.

 

데이터 블록을 화면에 드래그 하면 데이터를 화면상에 띄울 수 있다.

 

리스트 블록 아이템에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들을 끌어온다.

반복되는 레이아웃 영역의 경우, 카카오톡 친구창을 생각하면 편하다. (다른 정보, 같은 형식)

 

리스트블록을 누른 뒤, 필터 및 정렬 > 추가

위의 사진은 데이터에서 ‘중’ 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데이터만 뽑아낸다.

저장 버튼을 누르고 상위 메뉴로 나가면, 데이터의 개수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.(필터가 먹여짐.)

 

댓글의 형식은 text가 아니라 comment이다.

 

안드로이드 apk 빌드하기 > 시간 경과 후 apk 생성 >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.

 

관리자 > 메뉴 관리자 > 메뉴 그룹 추가 > 메뉴 추가 (메뉴 그룹 추가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.)


이렇게 메뉴를 설정 할 수 있다.

 

메뉴를 설정하고, 화면 클릭 후 우측 상태바에 메뉴 항목에서 적용시켜주면 된다.



탭 페이지 활용

화면을 클릭한뒤 이용가능한 화면에서 서브 화면으로 드래그 해오면 된다.

 

탭 페이지를 넣은 모습이다.

 

지도를 넣으려면 address 형태로 하면 된다.

좋아요는 like 형태로

 

컬럼 수 를 이용해 형식이 같은 부분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.

최종 설정한 모습

Scene 3 에서 메뉴 관리자 > 메뉴 그룹 추가 > 메뉴 추가 > 액션 > 기능 > 데이터 검색 > Scene 3 > 주소, 병원명 선택

 

Scene 3 한정 메뉴가 생긴다.

 

리스트 블록에서 끌고 온 것이 필요가 없을 때는 다시 드래그 해서 원래 자리로 돌려놓도록 하자.

 

그 이외의 UI 블록들

메시지 출력, 전화걸기 , 웹 열기, 동영상 출력 (Youtube에 검색후 선택 할 수 있음.), 스크롤 등이 있다.

 

Q. 무조건 오픈데이터 api를 사용해야하는가?

A. 그럴 필요 없음.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 뒤, 형태를 지정해 주고, 형태가 원하는 형식에 맞추어 하나씩 다 집어넣으면 되기는 한다.

 

'건전한 학습생활 - 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SAM - 자율주행  (0) 2020.08.15
3D 프린터 교육 정리  (0) 2019.08.26
Comments